데이터 분석 | IT/Tableau

[태블로 강의] CH3. 워크시트 핵심개념

j.suhyeon 2025. 1. 13. 23:15
💡잘 만든 워크시트의 기본 마크카드 & VLOD 개념
     직관적인 디자인을 위한 서식 변경 방법

 

3-1. 마크 카드 (Mark Card)

 

: 색상, 크기, 텍스트, 세부 정보, 도구 설명으로 데이터에 컨텍스트 추가하기

 

 

마크 타입 (Mark Type)

  • 라인 그래프(Line Graph)
    • 시간에 따른 흐름을 나타낼 때 사용
    • 예: 연도별 매출 추이 등
  • 막대 그래프(Bar Graph)
    • 여러 범주(지역, 제품 등)를 비교할 때 사용
    • 예: 지역별 매출 비교

 

마크 카드 - 1) 색상

 

  • 인지부하(Cognitive Load)를 줄이기 위해, 불필요하게 다양한 색상을 한 차트에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음
  • 한 대시보드에서 “속성별로 동일한 색상”을 사용해 여러 차트를 비교할 경우는 예외

 

 

마크 카드 - 크기 (Size)

  • 막대 그래프(Bar Chart)
    • 막대 너비는 여백보다 넓게, 그러나 길이보다 면적이 먼저 눈에 들어올 만큼 과도하게 넓어선 안 됨
  • 산점도(Scatter Plot)
    • 점(마크)의 크기를 조절해 데이터 점을 강조하거나 구분 가능

 

마크 카드 -  레이블(Label)

  • 여러 레이블을 과도하게 사용하면, 정보가 너무 많아 경향(트렌드)을 파악하기 어려움
    • 필수 정보만 표시해, 가독성 유지

 

마크 카드 -  도구 설명(Tooltip)

  • 마우스 오버 시 나타나는 도구 설명을 활용해, 필요할 때만 구체적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

 

3-2. VLOD (Visualization Level of Detail)

: 분석의 세부 수준을 조정하는 법

 

 

 

 

3-3. 직관적인 디자인을 위한 서식 변경

: 유형별 서식 변경 방법 / 서식 계층구조 (Formatting Hierarchy)

 

* 서식 계층구조 *

 

 

[ 후기 ] 

 

워크시트 핵심 개념으로 마크 카드, VLOD, 그리고 서식 변경 방법에 대해 배웠다.
이 세 가지 요소만 잘 활용해도, 단 하나의 데이터로도 굉장히 다양한 모양의 차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었다.

  • 마크 카드의 요소(색상·크기·레이블·도구 설명)를 적절히 조합하면, 차트마다 원하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.
  • VLOD(Visualization Level of Detail) 개념을 통해 ‘어떤 단위로 분석·표현할지’를 결정하면, 더욱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.
  • 서식 계층구조를 이해하면, 여러 시각화 요소를 일관성 있게 정돈해 직관적인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다.

예전에 경영정보시각화능력 실기 시험을 준비할 때, 이런 기능들이 너무 많아서
“이 설정을 하려면 도대체 어디에 들어가야 하나?” 하고 헷갈린 적이 많았다.
그만큼 복잡하기는 해도, 그만큼 다양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게 태블로의 큰 매력인 것 같다.

 

그나저나 아쉬운 점은, 태블로 강의를 보면서 선생님이 시연할 때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만 나오는데,
확대가 되지 않아 항목들이 작게 보인다는 것이다.
마우스 포인터 부분만이라도 확대되는 모습으로 보여줬으면 훨씬 편했을 텐데… 강의 볼 때 눈이 아프다..😂