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분석 | IT/Tableau

[태블로 강의] CH1. 데이터 시각화와 스토리텔링

j.suhyeon 2025. 1. 10. 21:24
💡 데이터 시각화로 액션 가능한 인사이트를 찾고(시각화),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법(스토리텔링

 

[ 데이터 시각화 ]

1. 시각화 vs. 가시화

  • 시각화: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, 커뮤니케이션에 초점.
  • 가시화: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듦.

2. 데이터를 보는 이유

  • 데이터 분석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, 이를 기반으로 개선을 위한 액션 도출.

3. 시각적 속성 활용

  • 시그널 최대화, 노이즈 최소화: 불필요한 요소 제거, 핵심에 초점.
    (예: 여러 장식보다 단순한 디자인)
  • 데이터 잉크 비율 높이기: 심플한 디자인, 불필요한 색상·장식 제거.
  • 차이를 비교하는 순서 (정확성 기준):
    • 위치 > 길이 > 방향 > 각도 > 면적 > 부피 > 채도

4. 데이터 시각화의 목적

  • 커뮤니케이션에 초점.
    1. 핵심 메시지가 명확한가?
    2. 행동을 촉진하는 Action Item이 포함되었는가?
    3. 상대방과 공유된 컨텍스트를 고려했는가?
    4. 인사이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인가?

5. 데이터 시각화 테크닉

  • 3D 차트 사용 금지 (정보 왜곡 가능).
  • 막대그래프 축은 0부터 시작 (단, 꺾은선 그래프는 축 조정 가능)
  • 색상은 강조하고 싶은 요소에만 사용.
  • 이중축 겹치기 지양 (혼란 유발 가능).
  • 산포도: 가로축은 원인, 세로축은 결과.
  • 시간 축: 가로축 사용이 기본.

 

[ 데이터 스토리텔링 ]

 

1. 스토리텔링의 힘

  • 숫자 데이터: 5%만 기억됨.
  • 스토리: 63% 기억됨.

2. 스토리 구성요소

  • 단순 정보 나열 X, 흐름 있는 이야기로 전달.
    • 상황문제해결

3. 의사결정자(C-level)와의 커뮤니케이션 방법

  • 핵심 포인트를 빠르게 전달:
    1. 결론
    2. 이유 & 예시
    3. 추천하는 액션

4. 제안 시 고려할 6가지 핵심지표 (이 중 한 영역을 개선해야함) 

  • Money : 이익, 비용
  • Market : 시장점유율, 제품 출시 소요 기간
  • Exposure : 리텐션, 리스크

 

[ 후기 ]

 

태블로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.
그런데 바로 태블로 실습으로 들어가지 않고, 먼저 데이터 시각화란 무엇인가에 대해 배우게 되었다.

 

특히 시각화와 가시화의 차이를 배우며,
태블로 작업을 할 때 내가 해야 할 것이 단순한 ‘가시화’가 아닌 ‘시각화’임을 항상 명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
 

또한, 데이터를 다룰 때 스토리의 중요성도 깨달았다.
데이터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,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하여 전달하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느꼈다.

 

본격적인 태블로 실습에 들어가기 전에 이렇게 데이터 시각화와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배우니,
앞으로 태블로로 작업을 할 때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지 명확해져서 좋았다.